99page
- 99 - 일시 전투장소 의병 수 피해상황 비고  의병일군  1908. 4.26. 보성조성(鳥城)  파청(坡靑)  150   헌병3명 사상    5.1.  보성 대원사 (大 院寺)  60 7명 사상 순사2명 중상    5.  보성 내가령치  (內加嶺峙)     헌병4명 사살    5 화순동복(同福)  운월치(雲月峙)   1명 사망 다수 살상 헌병분소 소각   5.19.  보성 서봉산 (棲 鳳山)  100 25명 사망 2명 사살    7(음 력).  보성 석호산 (石 虎山)       재거(再擧)  8.24 ∼25.  보성진산(眞山) 170 24명 사망  5명 중경상 일인어부 10명  사망, 실종 측량기 소각 일 군측량대습격    9.1.  광양 망덕리 (望 德里)  100       9.  광양 망덕리 (望 德里)         10.3. 보성복내(福內) 120   기병대숙소 및 면장가옥 소 각    12.22 .         일시 해산  1909. 3.3.  보성미력(彌力) 50     호남행단소장 (湖南 行單所將)  3.8.  (음 력)  나주 거성동 (巨 聲洞)  수백 명  수명 사상 수십명 살상  전해산(全海山) 심남 일(沈南一) 연합  3.25.  보성도촌(道村)  해창(海倉)  70   일본화물선 소각    4.2.  강진백도(白道)  선창(船倉)  30    어선구(漁船具) 격 침, 어부5명 사살  4.20.  순천 쌍암장 (雙 岩場)  100  3명 사살    4.22.        안규홍의 병전 담토 벌대편성  5.12. 보성천동(泉洞)  수백 명    5명 사살  심남일(沈南一) 등과  연합  5.18.  보성 복내장 (福 內場)  30  헌병2, 한인통역 1 사살   하고는 대장직을 사임한 뒤 의병을 해산시켰다. 아마, 그는 이때 '역부족'과 '세불리'를 절감 했던 것 같다.   그러나, 유격장 임창모(林昌模) 등은 최후의 순간까지 일제에 대항할 결심을 하고 이후에 도 의병항전을 계속하였다. 그러나, 그는 얼마 뒤 흑석산(黑石山)에서 일군의 공격을 받고 부자가 함께 몰살되는 비참한 최후를 맞이하고 말았다.   의병을 해산한 안규홍도 거의 초부터 생사고락을 같이 해온 부장 염재보 등과 함께 190 9 년 9월 25일 일군에 피체되고 말았다. 이로서 그의 의병항전은 종막을 고하게 된다. 그는 얼마 뒤 대구로 이송되었다가 사형을 선고받고 이듬해 5월 5일 순국하였다. '담살이'라는 미천한 신분에서도 구국의 일념으로 거의한 뒤 '무적황군'이라 불리워지던 일군을 도처에서 격파하는 등 한때 명성을 드날리던 안규홍 의병장은 이처럼 일제의 잔악한 '토벌작전'의 결 과 피체되어 형장에서 순국하고 말았던 것이다. 안규홍의 중요항일역전을 개관하면 아래와 같다.12)  안규홍 의병부대의 항일전 내력(1908. 4∼1909.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