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7page
075 제 1 편 1 0 년 의 발 자 취 (2 0 1 4 ~ 2 0 2 3 년 ) 김선복 회장은 전기기술연구원의 정부지원사업 연구과제 수행을 통하여 4차 산업혁 명과 에너지 전환 흐름에 맞도록 새로운 미래 연구개발 결과를 도출하고, 활용하여 전력산업에 기여할수 있는 협회의 역량을 제고하도록 당부하였다. 2. 주요 연구 실적 전기기술연구원, 전기기술교육원, 법제지원처가 공동으로 수행한 주요 연구 실적 은 아래의 표와 같다. 사업명 수행 연도 사업비 (천원) 주요 내용 실측데이터에 근거한 고압고 객 고조파 관리방안 개선 연구 2014~2015 190,000 • 고조파 관리 가이드 제공으로 고조파 설비의 관리 주체인 전기안전관리자의 기술력 향 상에 기여 • 고조파로 인한 손실 또는 현장 피해 예방에 기여 웹 기반의 자가용설비 진단 정 보 종합관리 시스템 구축 2014~2017 1,474,720 • 웹기반 진단정보 종합관리시스템 활용을 통해 기존의 수작업 진단 접수 및 업체 선정 에 대한 전산화로 업무 효율성 제고 • 수용가 전기설비 DB 구축으로 인한 이력 관리가 용이하며, 전기안전/진단 관련 기술 의 발전 향상에 기여 발전기술원 교육시스템 최적 화 컨설팅 2016 161,640 • 발전기술원 운전 역량 향상을 위한 발전기술원 교육 프로세스 구축과 발전소별 발전기 술원 보직별, 수준별, 단계별 교육 커리큘럼 구축 전기안전 확보를 위한 전기설 비 점검 및 이력관리 통합정보 시스템 구축 2016~2017 720,200 • 전기설비의 점검(checking) 및 이력관리( tracking)를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할 수 있는 통합 전산 관리시스템 구축 빅데이터를 활용한 대국민 전 기 관련 법령 해설 통합 정보 플랫폼 구축 2017~2019 551,200 • 법령 관련 대응력이 부족한 전기기술인이 쉽고 간편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기법령 통 합 플랫폼 구축 마이크로그리드 국제표준화 기반 구축 2017~2021 2,256,271 • 협회가 ESS 관련 각 단체 및 협의체에 합류해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역할을 함 • 국제표준 IEC 61000- 4 - 3 개발을 주도하여 KEEA의 이름으로 국제 무대에서 협회 의 위상 제고, 향후 ESS 관련 표준 제정 시 협회 회원들의 이익을 위한 의견 제시 가능 변전소 감시·진단용 이동로 봇 및 통합제어 기술 개발 2017~2019 2,249,784 • 전기설비에 대한 자동 측정과 해석을 통한 검사 및 진단에 대한 객관성 확보 • 측정 데이터 자동 수집을 통한 전기설비 전산화 및 체계적인 관리 가능 전기설비 BIM설계를 위한 라 이브러리 표준 개발 및 유지관 리 사업 2017~2021 4,238,500 • 전기 분야 속성이 반영된 BIM 라이브러리(4 만여개), 에드온 프로그램 및 활용가이드 개발 및 보급 구역전기사업자 전기설비 유 지관리·비상대응 기술분석 및 지침 개발 2018~2021 798,000 • 전기분야 기술자들을 위한 발전시스템의 고장 진단 및 유지관리 기법을 마련함으로써 구역전기사업자(안전관리자) 산업 확장 및 운영에 기여 • 국가직무능력표준 NCS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 및 모집을 통해 적합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교육원 홍보체계 마련 ESS 안전 확보를 위한 실증 기반의 안전성 평가지표 개발 및 시설기준 제정 2019~2021 5,063,694 • ESS 화재사고 원인 중 전기적 위해 요인을 통한 화재사고에 대한 실험 및 검증을 통해 해결 방안을 모색하였으며, 이를 통해서 향후 ESS 전기 안전 관련 제품 및 교육 확대 가능 • 본 과제를 통해 개발된 ESS 안전관리 정보기반 플랫폼을 통해 지속적으로 ESS 전기 안전관리자에게 관련 정보 전달 환경 구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