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7page
제2편 협회의 발자취 375 있는 수용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협회에서는 기술지 원을 위하여 직원들이 태양광 A/S 교육을 직접 받아 현장에서 업무를 수행하면서 전국에 별도의 전문 기 술인력을 지정하여 직접 협회에서 업무를 수행하기 어 려운 경우 기술인력을 활용하여 업무를 수행하였다. 연도별 A/S 실적은 [ 표 2-85 ] 와 같다. (2) 전기사고조사 전기는 현대사회에서 가장 중요한 에너지 자원이며 국가 경제발전과 국민생활의 편의를 위한 원동력이기 때문에 전기의 안전은 그만큼 중요하다. 또한 전기는 사용자의 관리에 의해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반면, 관리를 소홀히 하여 사고가 발 생하면 엄청난 재해를 일으킬 수 있는 잠재적 위험 요 소를 가지고 있다. 협회는 이러한 재해 예방을 위하여 수용가의 요청 으로 전기설비의 안전점검 및 진단을 실시하여 왔지 만, 막상 화재사고가 발생하면 원인이 어떤 것이든 전 기인들은 적지 않은 부담을 가지게 되며 명확하게 사 고의 원인이 밝혀지지도 않았는데도 불구하고 누전 등 전기안전관리자에게 책임을 묻는 경우가 많았다. 따라서 협회에서는 회원들이 심리적 안정감을 갖고 억울한 피해를 보지 않게 하기 위하여 사고 현장을 방 문하여 사고원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사고조사 범위는 전기설비의 계통고장 등으 로 인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발생한 사고이며, 사고조 사 업무는 각 지회에 위촉된 기술전문위원이 실시함 을 원칙으로 하고, 특별한 경우 지회에서 수행하지 못 할 경우 중앙회에서 지원하고 있다. 1997년부터 시작된 사고조사는 2000년도까지는 일부 경찰서에서 협회에 의뢰하여 조사를 하였으나, 2001년부터는 협회가 정부가 지정한 사고 조사 기관 이 아니라는 이유로 더 이상 사고조사 의뢰가 들어오 지는 않았다. 그러나 회원들이 지속적으로 협회를 믿고 지원을 요 청하는 경우가 많아 참고자료로 활용할 수 있도록 기 술지원의 형식으로 계속 지원을 하였으며, 2002년까지 는 사고조사로 따로 분류하여 관리하였으나 이후 기 술지원으로 통합하여 관리하고 있다. 2004년부터는 전력기술지원센터에서 업무를 총괄하여 지속적인 회 원 권익보호를 유지할 수 있도록 기술지원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연도별 사고조사는 [ 표 2-86 ] 과 같다. (3) 수용가 기술지원 전국 각지의 전기시설에서 근무하는 전기안전관리 자들은 현장에서 다양한 원인 불명의 전기설비 트러 블과 마주치고 있다. 근무자들은 이러한 문제에 대한 원인 및 해결 방법 을 찾고자 많은 노력을 하고 있지만, 방법을 모르거나 유관 설비 제조사 및 유지보수 업체 등에 의뢰해도 해 결방안을 찾지 못해 어려움에 처한 경우가 많이 발생 ◀ 신재생에너지설비 A/S 센터 현판 본문2편 _ 5(1) 302389(ok).indd 375 2014-01-24 오후 6:29: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