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3page
제2편 협회의 발자취 371 로 알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 이러한 목적으로 운영 이 되었던 절연유 내압/산가 측정은 1976년도 이후 오 래전부터 실시하고 있었다. [ 표 2-79 ] 는 연도별 절연유 시험 실적이다. 여기에 부분방전, 전력품질, 열화상 진단을 더 추가 하여 현재 4가지 특화진단을 운용하고 있으며 향후 특화진단의 항목 확대를 통해서 회원들에게 저비용, 고효율의 진단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각각의 항목별 특화진단 내용은 [ 표 2-80 ] 과 같다. 다. 전기안전관리업무가이드 제작 및 무료 배포 전기안전관리규정은 안전관리업무에 대한 표준화 및 사고발생에 대한 책임 등에 근거로 활용되었고, 전 기재해 예방에 크게 기여하였으나 1999년 규제완화 차원에서 “ 전기안전관리규정 비치의무 ” 가 삭제되어, 전기설비의 안전관리를 위한 확인・점검 및 운전・조 [ 표 2-79 ] 절연유 시험 실적 (단위 : 건) 년도 실시업체수 년도 실시업체수 년도 실시업체수 년도 실시 업체수 1976 5 1989 24 1998 13 2007 6 1977 36 1990 38 1999 14 2008 10 1978 34 1991 15 2000 13 2009 4 1979 31 1992 15 2001 9 2010 5 1980 16 1993 5 2002 7 2011 3 1981~1985 - 1994 9 2003 3 2012 4 1986 36 1995 9 2004 6 1987 46 1996 9 2005 4 1988 50 1997 - 2006 9 [ 표 2-80 ] 2013년도 실시하는 특화진단 내용 자체진단 항목 진단 수행방법 변압기 절연유 시험 •DC 내압시험 및 산가도 측정을 통한 절연유 적정성 여부 판정 부분방전진단 • 전력설비는 열화가 진행될 때 꼭 부분방전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 때 외부로 유출되는 이상 방 전신호를 측정 장비를 통해 검출하여 부분방전 발생여부를 판정 열화상 측정 •운전 중인 전력설비를 적외선 장비로 측정해 이상 발열 부위 등을 분석 고조파 측정, 고조파전류 기준 수립 및 적합성 검토 •수용가 인입선로 특성(수용가 임피던스, 변압기용량 등) 조사 후 시뮬레이션을 통해 고조파 전류 기 준 수립 •전력품질 측정 장비로 1주일 간 고조파 측정 및 기준 값과 비교하여 수용가 고조파 적합성 판단 [ 표 2-81 ] 특화진단 실적 (단위 : 건/2013년 12월말 기준) 년 도 전력품질진단 부분방전진단 열화상진단 절연유시험 2013 11 8 8 9 본문2편 _ 5(1) 302389(ok).indd 371 2014-01-24 오후 6:2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