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71page

제2편 협회의 발자취 369 확인하여 불합리한 부분에 대하여 보완 대책을 제시 함으로써 전력설비의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여 사고로 인한 수용가의 경제적 손실과 불편 등을 예방하여 안 정성 확보에 기여하고 있다. (4) 전력계통 안전진단 전력계통 안전진단도 전기설비 안전점검과 마찬가 지로 수용가의 요구에 의해서 1998년도부터 시작되었 다. 진단이 필요한 수용가가 협회에 신청하면 해당부 서에서 진단신청의 적합여부를 판단하여 일정을 잡아 수용가에 전달하고 진단을 수행하였다. 전력계통 안전 진단은 주로 전력설비의 계통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해 고장전류를 계산하고 계통의 효율적 운용을 위한 보 호협조 상태 파악 및 전기설비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특성시험, 고조파의 장애로 인한 과부하・과열・이상 음・진동 등을 예방하고자 고조파에 대한 정밀측정/분 석을 통한 대책을 수립하였다. 또한 전력설비 수명예 측, 전기설비의 안전관리 방향 및 부적격설비에 대한 조치 또는 개선방안 등을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전기 설비의 안전성 확보와 경제적 손실 방지에 중점을 두 고 있다. 전기설비 안전점검과 전력계통 안전진단 은 2012년 도 이후 전기설비 종합 진단이라는 명칭으로 통합되 어 안전진단 및 계통진단을 통합관리하고 있다. 연도별 실적은 [ 표 2-77 ] 과 같다. (5) 특화진단 특화진단이란 전력설비 종합 진단과 마찬가지로 수 용가의 이상상태 등을 파악하여 건전성을 회복시키기 위한 진단이라는 점은 같다. 하지만 협회에서 진행하 는 진단이나 그밖에 다른 진단회사 또는 단체에서 진 행하는 진단은 전체 설비를 여러 가지 항목을 가지고 종합적으로 진단을 하기 때문에 비용 및 일정을 조율 하여 연간 1회 이상 수행하기가 힘든 부분이 있다. 때에 따라서 전력설비는 수시로 점검이 필요한 경우 가 있고, 어느 한 진단만 받을 필요성도 있기 때문에 이러한 수용가의 필요부분을 충족시켜주고 전력설비 관리에 만전을 기하게 하기 위해서 협회에서는 2013년 도부터 본격적으로 특화진단이라는 부분을 신설하여 자체적으로 진단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특화진단은 몇 가지 특징이 있는데 비용이 부담스럽지 않고 진단이 비교적 간단하며 결과를 바 [ 표 2-75 ] 전기수요관리 진단 주요내용 구 분 진단 내용 최대수요전력관리 최대수요전력관리 대책, 전력 기본요금 절감방안 수립 수변전설비 용량 적정성, 운전효율성 평가, 역률관리 동력설비 효율분석, 시스템 적정 운전여부, 부하율, 역률개선책, 전력부하패턴 분석, 회전수 제어를 통한 절전대책 검토, 제어방식 개선, 기타 절전장치 적용 가능성 검토 압축설비 운전 효율분석, 고효율 설비 적용방안, 이송계통 개선방안 조명설비 절전형 광원 도입 타당성 검토, 등기구 배치 적정성, 조도관리 냉각・냉동설비 냉동기 성능분석, 공정 냉각계통 합리화 대책, 냉각 폐열 이용방안 수립 전기로설비 열정산, 부대설비 절전대책, 열원대체 가능성, 폐열회수 방안 수립 본문2편 _ 5(1) 302389(ok).indd 369 2014-01-24 오후 6:29: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