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7page

제2편 협회의 발자취 285 의 최소 발화 에너지는 0.02 ~ 0.3mJ이라고 하는 아주 작은 것이다. 그러므로 전기설비에 발생하는 전기불꽃 은 모두가 점화원이 될 수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예방대책으로 스파크 등의 불꽃이 외부로 누출되지 않는 밀폐된 스위치를 사용하고 용접기 등의 사용은 안전한 장소 또는 옥외에서 사용하여 위험한 장소에 서는 필요시 방폭형 기기를 사용하여야 한다. (6) 접속부의 과열에 의한 발화 전선과 전선, 전선과 접속단자 또는 접촉편 등의 도 체에서 전기적인 접촉 상태가 불완전할 때의 접촉저항 에 의한 발열에 의하여 발화원이 될 수 있다. (7) 지락에 의한 발화 1선 단락전류가 대지로 통하는 것을 지락이라고 하 며 이 경우 전류가 대지로 통하기 때문에 지락점의 접 지저항치에 따라 지락전류의 크기가 결정된다. 또한 고전압 회로인 경우 다음의 원인으로 발화원이 될 수 있다. ① 금속체 등에 지락될 때의 스파크, ② 목재 등 에 전류가 흐를 때의 발화현상이 있다. (8) 열적 경과에 의한 발화 열 발생 전기기기를 가연물 주위에서 사용하거나 열 의 방산이 잘 안 되는 장소에서 사용할 경우 가연물 에 열이 축적되어 발화하는 경우이다. 예로서 전기스토브 등을 담요로 씌워 방치한 결과 전기스토브 열이 축적되어 담요에 착화한 경우 등을 들 수 있다. (9) 정전기에 의한 발화 정전기 화재는 정전기 스파크에 의하여 가연성 가스 및 증기 등에 인화할 위험이 가장 크다. 정전기는 물질 의 마찰, 박리 등에 의하여 발생하는 것으로서 대전된 물체 사이에서 방전이 생길 경우 주위에 있던 가연성 가스 및 증기에 인화되기 위해서는 일정 조건이 충족 되어야 한다. (10) 낙뢰에 의한 발화 낙뢰는 일종의 정전기로서 구름과 대지간의 방전현 상이며 낙뢰가 발생하면 전기회로에 이상전압이 유기 되어 절연을 파괴시킬 뿐만 아니라 이때 흐르는 큰 전 류가 화재의 원인이 된다. 다. 전기사고사례 (1) 전기감전 사고사례 수전설비에서 애자청소 중 감전 부상사고, 옥상 수 전설비에 무단출입으로 감전 부상사고, 좁은 공간에 서 용접 작업 중 감전 사망사고, 계기용변압기에 접촉 한 감전사고, 정기검사의 감전사고, 피뢰기 교체 작업 중 감전 사망사고, 345㎸ 송전선로 공사 중 철탑상부 에서 추락 사망 등 총 34건 (2) 현장 전기설비 사고사례 저압차단기 교체작업 중 충전부 접촉에 의한 아크 화상, 누전차단기 미설치로 전기화재 사고, 계량기 단 자 조임 불량으로 전기화재 사고 발생, 전기안전관리자 가 정기점검 시 사고 발생, 방전에 의한 아크가 발생하 본문2편 _ 3,4 239301(ok).indd 285 2014-01-24 오후 6: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