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86page
284 한국전력기술인협회 50년사 선인 경우 보통 수 100A ~ 수 1,000A의 단락전류가 발 생하고 이로 인한 스파크에 의해 발화하며 그와 동시에 단락 부위에는 특이한 형태의 단락 용량이 형성된다. (2) 과전류에 의한 발화 전선에 전류가 흐르면 줄(Joule)의 법칙에 의하여 열 이 발생하며 과전류에 의하여 발생한 발열량과 방열 량의 평형이 깨어지면 절연체의 최고 허용온도를 초과 하게 되므로, 절연피복이 급속도로 열화하게 되고 피 복이 탄화되어 누전 또는 선간단락으로 발화의 원인 이 될 수 있다. (3) 누전에 의한 발화 누전이란 전류의 통로로 설계된 이외의 곳으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을 말하며 누전화재란 “ 전류가 통로로 설계 된 부분으로부터 새서 건물 및 부대설비 또는 공작물의 일부 중 누설전류가 특정한 부분으로 장시간 흐르게 되 면 누전경로를 따라 특정부분의 탄화 촉진으로 이것을 발열시켜서 발생되는 화재 ” 라 하며, 크게 분류하면 건물 구조재와 전기기기 및 배선에 의한 것으로 구분한다. 절연분량으로 절연체를 통하여 누전되면 절연열화 가 촉진되어 누설전류가 증가하고 발화까지 이르게 되 는 경우로 이러한 누전화재의 원인은 전류의 경로에 누전이 되는 누전점, 줄(Joule)열로 발열하는 발화점, 대지 또는 접지구조물에 접촉하는 접지점의 3가지 요 건이 존재한다. 발화까지 이를 수 있는 누전전류의 최소치는 300 ~ 50㎃정도이며, 여기서 말하는 부대설비는 빨래줄, 물 받이, 홈통, 간판, 가스관 등과 같이 원칙적으로 건물 에 고정시킨 설치물을 말하고 또 공작물이란 담장, 굴 뚝, 간판탑 등을 말한다. (4) 절연열화 또는 탄화에 의한 발화 배선기구의 절연은 유기질 절연재료로 되어 있어 오 랜 시간이 경과하면 절연성이 저하하거나 접촉부분이 탄화되어 발열 또는 트래킹 현상에 의해 발화원이 될 수 있다. 절연파괴 현상이란 전기적으로 절연된 물질 상호간에 전기저항이 낮아져서 많은 전류를 흐르게 하는 현상을 말한다. (5) 전기불꽃(Spark)에 의한 발화 화재원인으로서의 전기불꽃은 개폐기나 스위치 등 의 전기회로를 개폐할 때 또는 용접기 등을 사용할 경 우에 발생하는 불꽃이 문제가 된다. 개폐기 또는 스위 치류는 회로를 차단 또는 투입할 때에 불꽃이 일어나 고 특히 회로 중에 전동기 등의 인덕턴스 부하가 포함 될 때는 더욱 심하여 회로전압이 최소 아크(Arc) 발생 전압 이하라도 과도현상에 의한 전압상승으로 차단할 때 arc 또는 glow를 내는 일이 있다. 일반적으로 전기 불꽃은 회로를 개로(OFF)할 때 더 심하다. 또한 백열전등도 유리가 파손되면 필라멘트가 노출 되어 전기불꽃과 같은 위험이 있으며, 전기설비에서 발 생하는 전기불꽃은 모두가 점화원이 될 수 있다. 이러 한 스파크는 주변에 가연성 가스나 인화성 액체의 증 기, 미세한 곡분, 탄가루 등이 있는 곳에서 가장 발화 하기 쉬운 혼합비를 가지는 각종 폭발성 가스와 증기 본문2편 _ 3,4 239301(ok).indd 284 2014-01-24 오후 6:27:4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