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page

252 한국전력기술인협회 50년사 가. 전기사용합리화 목적 (1) 전기사용합리화의 목적은 무엇인가 전기사용합리화의 목적은 전기가 가진 훌륭한 성질 을 이용하여 전화, 자동화, 기계화 등을 도입하고 설비 및 관리의 개선을 하여 생산능률의 향상, 품질의 개선 등을 하는 것이 주된 목적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가동 률이 향상되고 나아가서는 부하율이 향상되어 전력손 실이 줄어들게 하는 것이다. (2) 전기사용합리화를 실시하는데 장해되는 것은 무엇 인가 생산 코스트 중에 점유하는 전력비의 비율이 적다. 현상대로 생산을 계속하여도 불편한 점이 없다. 전력 손실이 얼마나 되나 확실하게 알 수 없다. 설비투자 시 자금회전이 곤란하다. 전기안전관리 담당자가 있어도 개선 기타 업무에 쫓겨 검토할 시간이 없다(전기안전 관리담당자의 지위가 낮기 때문에). 이러한 것이 원인 이 될 수 있다. 그러나 뜻밖의 사실을 그대로 넘겨버리는 경우가 많 다. 한 예를 들면 자재의 운반을 원활하게 하면 기계의 ◀ 전기사용 합리화 진단기법 발간 유휴시간이 없어져 전동기의 공운전이 줄어든다. 이런 일은 언뜻 보면 전기의 합리화에 관계가 없는 것 같이 보이나 단위 전력량의 저하, 부하율의 향상, 역률의 개 선이 되고 큰 비용을 들이지 않아도 많은 성과를 올릴 수 있게 된다. 나. 진단의 필요성 (1) 진단의 필요성은 어디에 있는가. 전력관리 면에서 보면 생산관리가 없다는 인식이 부족하다. 전기에 너지가 동력, 열, 빛 등으로 2차 에너지로 소비되는 말단까지의 관리체계가 일관성이 유지되어야 한다. (2) 전기설비 면에서의 필요성은 설비의 근대화로 생 산성의 향상을 할 필요가 있다. 다. 진단방법 (1) 합리화라는 인식을 높여주기 위해서는 경영의 근 대화, 민주화가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합리화 의 필요성을 경영자에게 PR하는 것이 선결문제다. 특히 전력측면에서의 생산관리의 방법이 과학적이 고 정확하며 그리고 효과적이라는 점을 PR 한다. (2) 실시체제의 조직이 되어 있는가. 직장의 협력체제 가 필요하다. 직장의 명령계통이 세로로 되어 있어 가로의 연락조직이 없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작업 의 흐름은 가로로 되고 있다. 특히 전기는 각 직장 에 관련이 있으므로 협력체제 조직이 필요하다. (3) 진단용 기구에는 어떠한 것이 있는가. (4) 진단은 어떠한 순서로 진행시키는가. (5) 진단하는 데는 어떠한 주의가 필요한가. 본문2편 _ 3,4 239301(ok).indd 252 2014-01-24 오후 6:27: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