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1page
제1편 개관 179 다. 원자력발전시대 우리나라는 1962년 3월에 “ 트리가마크Ⅱ ” 연구용 원자로를 도입함으로써 본격적인 원자력 이용분야에 대한 연구에 착수하였다. 제4차 전원개발계획이 추진되던 1978년 4월 우리나라 는 최초로 고리 원자력발전소 1호기(587MW)를 준공하 여 세계에서 21번째로 원자력발전소 보유국이 되었다. 1982년에 준공된 월성 1호기와 1983년에 준공된 고 리 2호기를 합하면 그 발전설비 용량은 191만 5,700㎾ 에 달하여 세계 14위의 원자력발전국이 되었으며, 국 산표준화작업이 순조롭게 달성되면 2000년대 초기에 는 우리나라도 원자력 기술자립과 아울러 원자력발전 선진국으로의 진입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되었다. 원자력발전소 건설초기(1 ~ 3호기)에는 외국 업체가 주 계약자가 되는 일괄도급방식인 까닭에 국내기업의 참여 도가 미약하여 기기의 국산화와 기술자립이 어려웠으나 1976년 이후 착공한 원전 5, 6호기 이후는 Buyer's Credit 에 의한 분할발주방식을 택함으로써 우리가 직접 사업 관리를 담당하게 되어, 엔지니어링, 비용관리, 품질관리, 기술축적, 기기국산화 등을 촉진할 수 있게 되었다. 원자력발전소의 설계 및 엔지니어링분야는 한국전 력기술(주) 기자재제작 특히 원자로・터빈 및 발전기 등은 한국중공업(주), 원자력안전 관련 연구 분야는 한국원자력연구소에서 담당하기 때문에 효과적인 기 술 인력이 양성되어 해외진출을 할 수 있게 되었다. 라. 장기 전원개발 1986년부터 5년단위로 실시된 장기 전원개발실적은 다음 [ 표 1-21 ] 과 같다. [ 표 1-21 ] 전원개발실적 현황 연 도 (5년단위) 수 력 (㎾) 기 력 (㎾) 내연력 (㎾) 원자력 (㎾) 상용자가 발전(㎾) 용량합계 (㎾) 최대전력 (㎾) 공급능력 (㎾) 연간발전량 (GWh) 판매전력량 (GWh) 1986년 2,224 9,912 1,157 0 1,546 13,293 9,914 19,606 69,6 80 56.309 1990년 2,340 10,752 313 7,615 3,034 24,055 17,252 22,000 118,4 60 94,383 1995년 3,093 20,215 258 8,615 3,171 35,355 29,880 31,970 203,5 46 163,270 2000년 3,148 31,314 270 13,751 5,234 53,684 41,010 46.080 229,4 42 239,535 2005년 3,882 38,825 296 17,715 4,817 67,675 46,320 56,090 389,4 79 332,412 2010년 5,524 48,671 315 17,715 3,905 79,983 65,800 73,570 495,0 28 434,160 2011년 6,418 49,300 355 18,715 3,906 83,310 77,777 81,550 518,1 10 455,070 ▲ 한국표준형 경수로인 울진원자력 3호기 원자로 본문1편 _ 132185(ok).indd 179 2014-01-24 오후 6:24: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