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page

168 한국전력기술인협회 50년사 용부지 내의 전기철도, 대규모 공장의 전동기 등의 옥 내 배선에 사용되는 전압을 말한다. 특별고압은 발전소, 송전선로 및 대규모 고객에게 공급하는 고압을 말한다. 한전의 규정에 의하여 사용 되는 345㎸, 765㎸를 초고압이라고 하며 송전선로로 사용한다. 전압의 운영은 시설상황에 따라 안전을 확 보할 수 있도록 전선이나 전기기기 등이 성능과 시험 방법, 전력공급설비 및 전기사용설비의 시설방법 등 에 대한 기술적인 기준이 구체적으로 정해져 있다. 또한 전기설비에 관한 각종 법령인 「 전기사업법 」 , 「 전력기술관리법 」 , 「 전기공사업법 」 , 「 전기용품안전관리 법 」 , 「 소방법 」 , 「 산업안전보건법 」 등과도 공통적으로 체 계를 이루고 있다. 다. 표준전압 해방전에 일본의 전압을 사용하다가 해방 후에는 미국과 유럽의 전기기기 도입으로 혼용되면서 혼란을 가져왔다. 이 혼란을 해결하고 계통운영능률과 경제성 을 도모하면서 국가적 이익을 위해 전선로의 전압을 표준화하고 전기기기에 대한 표준정격전압은 이 규격 에 준하여 각각의 공업규격에 규정되고 있다. • 표준전압(KSC 0501) 공칭전압이란 그 전선로를 대표하는 선간전압을 말하 며 그 내용은 [ 표 1-14 ] 와 같다. 110V, 220V, 220V/380V, 440V, 3,300V, 3,300/ 5,700V, 6,600V, 6,600/11,400V 13,200V, 13,200/22,900V, 22,000V, 22,000/38,000V, 66,000V, 154,000V, 220,000V, 345,000V • 저압 배전 전압의 표준화 동향 우리나라는 종전에는 다양하였으나, 단상전과, 3상 380V로 결정되어 기존 설계승압을 2005년에 100% 달성하여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IEC에는 220V/440V 로 전압의 변경을 권고하고 있다. 사용전압의 변경은 산업분야에 위대한 영향과 막대한 비용이 소모되므로 향후 이에 대한 적절한 대응책 수립이 요구된다. [ 표 1-13 ] 전압의 종류 구 분 교 류 직 류 저압 600V이하 750V이하 고압 600V 초과하고 7,000V이하 750V초과하고 7,000V 이하 특고압 7,000V 초과 주) 1. 관련규정 : 전기설비 기술기준 제3조, 배전규정110-2, 내선규정 110-1, 2. 배정규정내외는 특별고압을 11,000V를 넘고 25,000V 이하로 규정 3. IEC 38에서는 1,000V를 경계로 하여 전업을 분류 [ 표 1-14 ] 표준전압 기준 표준전압 허용오차 110V 110V의 상하로 6V이내 (110 ± 6V) 220V 220V의 상하로 13V이내 (220 ± 6V) 380V 380V의 상하로 38V이내 (380 ± 6V) 본문1편 _ 132185(ok).indd 168 2014-01-24 오후 6: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