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7page

제1편 개관 165 이 사라지면서 백열등 불을 사용하기 시작하였다. 그 당시에는 전신, 전기도금 등 모든 분야에서 직류가 사 용되었다. 나. 교류배전과 주파수 수력발전소 경우에는 수십 ㎞에 달하여 전력 수송 에 따른 전압 강하와 전력손실이 과대하게 발생하는 문제에 봉착하였다. 직류로는 해결할 수 가 없었다. 1882년 Gaulard Gibbs가 5000V급 변압기를 발명하 면서 본격적으로 교류 이용이 시작되었다. 전압의 변 화를 손쉽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1882년 Tesla는 유도전동기의 이론을 발표하고 이를 토대로 90 ° 의 위상차를 맞는 2상 교류발전기를 만들 어서 교류전동기를 구동하였다. 직류기술에 집착했던 Edison사는 모르간 자본에 의 해서 교류기술을 진행했던 Thomson/Housetom사와 합병되어 태어난 회사가 GE(General Electric)이다. 2. 사용전압과 전력계통의 손실률 가. 사용전압과 주파수 전기사용전압은 1887년 처음으로 경복궁에 직류 전 압으로 사용하였으며 그 후에 한성전기회사에서 전기 를 공급하게 되어 민간점등시대가 되었는데 그때 에디 슨전기 회사로부터 900개의 에디슨 램프 100V용을 점 등하게 되었다. 그 후부터 교류전압을 사용하였을 것으로 보이며 주파수는 60Hz로 정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다. 가 정용 전압이 표준화되면서 1968년 전등 100V는 220V 로 동력 200V는 380V로 사용하여야 하며 기존설비전 압에 대하여는 1973년부터 2005년까지 100%승압이 완료되었다. 배전전압을 경성전기에서 3.3㎸표준전압으로 공급 을 하였으며, 1962년부터 6.6㎸로 승압하는 동안 1964 년에 11.4㎸와 22.9㎸로 결정되어 추진하였는데 1985 년에 22.9㎸로 결정되어 2004년까지 100%승압이 만 료되었다. 송전전압을 1923년 중대리에서 서울 간 66㎸가 처 음으로 송전되었으며 1932년에 154㎸는 장진강에서 평양까지 송전되었고, 1935년에 220㎸는 허천강수력 에서 흥남까지 송전되었다. 그 후 정부의 5개년 계획 에 의해 발전설비가 대폭 증가하여 1970년에 345㎸를 계획하여 1976년 345㎸를 여수화력에서 신옥천까지, 1996년에 765㎸를 계획하여 2002년에 당진화력에서 신안성, 신가평에서 신태백까지 송전하였다. 현재 우리나라의 규약전압은 송전은 교류 765㎸, 345㎸, 154㎸ 직류 180㎸ 배전은 교류 22.9㎸ 내선 220V, 380V이다. 규약 주파수는 60Hz이므로 이 밖에 전압과 주파수를 사용하려면 변압기와 주파수 변환기 를 사용하여야 한다. 나. 전력계통의 손실률 전업통합당시 전력계통의 손실률은 29.35%였으나 이후 노력을 통해 1980년대는 5% 2010년에는 3.99% 를 기록하였다. 손실률의 감소요인으로는 154㎸이상의 송변전설비에서 발생되는 1차계통의 손실이 345㎸ 격 본문1편 _ 132185(ok).indd 165 2014-01-24 오후 6:24: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