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page
- 15 - (2011~2017)  특히  두드러졌다.  양승태  대법원은  '진화위  진실규명  결정일로부터  3년  안 에 제기하지 못하면 청구권이 없다'거나, '재심에서 무죄를 받아 형사보상이 확정된 피해 자는  이로부터 6개월  안에 손해배상을  청구해야 한다'며 편의대로  법리를 적용했다. 3년 과 6개월을 지키지 못한 피해자들의 패소 확정도 늘어났다.  그  사이  고령의  피해자들은  계속  세상을  등졌다.  정근식  2기  진화위  위원장이  기회있을  때마다 '포괄적인 배·보상 법제화'를 말하고 있는 이유다.  "2013년  이미  대법원에서  배·보상  관련  특별법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9년  간  국회에  발의된  법률개정안만  열  개  정도지만  국회  문턱을  넘은  적이  한  번도  없다.  마침  국회  논의가  시작됐고,  2기  진화위는  입법  필요성을  촉구하고  있다.  국회가  긴밀히  추진하면  성사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20년  12월  출범한  2기  진화위는  2010년  급히  활동을  종료했던  1기  진화위의  연장선 에  있다.  1기 진화위는  2005년  정부  차원의  과거사  청산이  비로소  본격화되면서  군사정 권 시기 인권 침해, 한국전쟁 시기 학살 사건 등을 조사하는 기구로 꾸려졌으나 이후 이 명박 정부가 과거사 청산 의지를 보이지 않으면서 4년 2개월이란 짧은 기간을 끝으로 종 료됐다.  지난 12월  기준 2기 진화위에  접수된 진실규명 신청은  1만2526건(1만4345명)으로, 한국 전쟁 민간인 희생 사건만 9000건을 넘는다. 짧은 조사 기간 때문에 1기 진화위에서 규명 하지 못했던  과제도 산적했고, 지난 10여년  간 정부가 사과, 명예  및 피해 회복, 재발방 지 대책 마련 등을 외면한 탓에 다시 2기 진화위에 접수된 사건도 상당수다.  2기 진화위는 20일 국회에서 관련 토론회를 개최한다. 더불어민주당 의원 6명,  국민의힘  의원  3명  등  여야가  공동  주최한다.  지난  14일  <오마이뉴스>와  만난  정  위원장은  "국가  폭력 피해자들을 위한 통합적인 피해 보상 조치가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다음은 정 위원장과 나눈 일문일답을 정리한 내용이다.  "소송을 통한 구제, 피해자에게 책임 전가하는 일" - 왜 지금 국가폭력 피해자에 대한 배·보상 법제화를 얘기하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