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7page


157page

독립유공자 공적비
157page

진상규명을 위한 지역사회의 노력 대한민국 정부 수립 직후 발발한 여순사건은 1만5천 명에서 2만여 명의 무고한 국민이 희생된 사건이지만 아직까지 정확히 진실이 규명되지 않았다. 여순사건 이후 '여순반란사건' 이란 명칭으로 불리게 되자, 지역민이 일으킨 사건이 아님에도 지역민의 불명예로 이어질 우려가 있어 지역원로와 향토사 학자가 중심이 되어 '제14연대 주둔군 반란사건' 이란 이름으로 바꿔 부를 것을 제안하면서 진상규명 노력이 시작되었다. 이 시기 문학작품으로 이병주의 『지리산』, 이태의 『여순병란』, 조정래의 『태백산맥』 등이 알려지면서 사건을 겪지 않았던 국민의 관심이 높아지기 시작했다. 1990년대 들어 학자들이 여순사건 관련 연구논문을 발표하기 시작해 1996년 이효춘의 『여순군란 연구』에 이어 안종철 등 연구자들이 여순사건 관련 연구논문을 발표하였고, 2004년에는 김득중이 『여순사건과 이승만 반공체 제의 구축』이란 박사학위 논문을 발표하였다. '여순반란사건' 이란 용어도 차츰 '여수·순천 10.19사건'으로 바뀌면서, 군인의 반란에 무게를 두었던 시각에서 지역민의 무고한 학살에 초점을 두는 시각으로 바뀌어 갔다.
157page

한편, 1998년 여수지역사회연구소가 여순사건 50주년을 맞이해 발표한 〈여순사건 실태조사보고서〉와 〈호명동 암매장 유골 발굴〉, 〈위령제〉와〈학술대회〉를 계기로 진상규명의 큰 전환점을 맞이하게 된다. 이러한 지역 시민사회 의 노력과 함께 정치·사회적으로 점차 민주화되면서 연좌제의 고통 속에 두려 움에 떨던 유족들도 조금씩 입을 열고 세상 밖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여수를 시작으로 순천과 구례, 광양, 보성, 고흥 유족회가 발족하였고 전국적인 연대 활 동에 참여하면서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 기본법」 제정 활동에도 여순사건 관련 단체가 주도적으로 참여하였다. 이와 함께 지역 문화예술인의 참여도 활발히 진행되어 문학, 미술, 음악, 연극, 영화 등 여순사건 관련 다수의 문화예술작품이 발표되었고, 여순사건의 진상규명 활동에 크게 기여하였다. 2005년부터 2010년까지 제1기 진실·화해를위한과거사정리위원회의 출범으로 정부 차원의 진상규명 노력이 있었지만, 한국전쟁 전후 민간인학살이 있었던 전 지역을 대상으로 진행되어 그 성과가 미흡하였다. 이를 극복하고자 여순 사건유족회를 비롯한 시민사회 등 지역민의 노력과 정치권의 지원에 힘입어 2021년 「여수·순천 10.19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하였다. 조속한 시일 내에 여순사건의 진실이 규명되고 희생자의 명예가 회복되기를 기원한다. '여순반란사건' 이란 용어도 차츰 '여수·순천 10.19사건'으로 바뀌면서, 군인의 반란에 무게를 두었던 시각에서 지역민의 무고한 학살에 초점을 두는 시각으로 바뀌어 갔다.
157page

강화선지사
157page

강화선지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