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5page
155page
여순사건 전개일지
155page
□ 1948년
ㅇ 4월 3일 : 제주 4·3사건 발발
ㅇ 5월 4일 : 14연대 창설 (4연대 1개 대대 병력), 초대 연대장 이영순 소령
ㅇ 5월 10일 : 남한만의 단독 실시, 제헌국회의원 선출
ㅇ 5일 16일 : 제2대 연대장 김익렬 중령(전 제주 9연대장) 부임
ㅇ 7월 15일 : 제3대 연대장 오동기 소령 부임
ㅇ 7월 17일 : 대한민국 헌법 및 정부조직법 공포
ㅇ 8월 15일 : 대한민국 정부 수립
ㅇ 9월 5일 : 국방경비대는 육군, 조선해안경비대는 해군으로 정식 발족
ㅇ 10월 5일 : 제4대 연대장 박승훈 중령 부임
ㅇ 10월 11일 : 제주도경비사령부 설치(사령관 김상경 대령)
ㅇ 10월 13일 : 제주 파병을 위한 시가전 예행연습
ㅇ 10월 15일 : 제주도 파병 관련 명령 하달
ㅇ 10월 19일 20시경 : 14연대 군인 동족상잔 반대, 미군 철수 주장하며 봉기
ㅇ 10월 20일 5시경 : 봉기군 여수읍내로 진입해 중요기관 장악
ㅇ 10월 20일 8시경 : 봉기군 여수역에서 6량의 열차 및 차량을 이용해 순천 출발
ㅇ 10월 20일 9시 30분경 : 봉기군 순천 도착
ㅇ 10월 20일(오전): 여수보안서 및 인민위원회를 구성하여 경찰, 우익인사, 우익청년단, 지주 등 색출
▶ 제주도출동거구병사위원회 명의로 성명서 게시
ㅇ 10월 20일(오전) : 순천 장대다리에서 봉기군과 경찰 교전, 경찰 패퇴
ㅇ 10월 20일(오후) : 봉기군 순천 점령 후 좌익학생과 노동자에 무기를 지급하여 경찰, 친일인사, 우익요원 등 색출
▶ 여수 - 인민대회를 개최하고 이용기, 박채영, 김귀영, 문성휘, 유목윤 5명을 인민위원회 의장으로 선출, 6개 항의 결정서 채택
155page
▶ 광양 - 광양경찰서에 잡혀있던 민간인 27명 덕례리(반송쟁이)에서 학살
ㅇ 10월 21일(오전) : 이범석 국무총리 김 국방장관 첫 발표
ㅇ 10월 21일(오후) : 봉기군 학구에서 시내로 퇴각
▶ 봉기군 광양읍내 장악
ㅇ 10월 21일(저녁): 고인수 여수경찰서장 등 총살
▶ 반군토벌전투사령부(사령관 송호성) 광주 설치, 7개 연대 10개 대대 병력
▶ 봉기군 벌교 낙안, 보성, 고흥읍 장악, 좌익세력 구례읍 장악
ㅇ 10월 22일(오전): 여수, 순천지구에 계엄 선포
ㅇ 10월 22일(저녁): 봉기군 외곽지역으로 퇴각 (지리산, 백운산, 조계산 입산)
ㅇ 10월 23일 : 진압군 순천 탈환
ㅇ 10월 23일 : 해군 박격포와 함께 제5연대 1차 여수 상륙 시도
ㅇ 10월 23일(오후) : 김영준 친일고무사장 등 우익인사 사살
ㅇ 10월 24일 : 진압군이 인구부전투에서 봉기군과 시민군에게 큰 피해를 입고 패퇴
ㅇ 10월 25일 : 진압군 미평에서 대규모 여수탈환작전 준비
ㅇ 10월 26일 : 진압군 무차별 포사격 개시, 여수 잔류 봉기군은 광양, 구례 방견으로 대부분 퇴각하고 여수읍내에는 소수 좌익과 학생들이 날아 있었음
▶진압군 광양 탈환
ㅇ 10월 27일 : 진압군 여수 완전 진압
ㅇ 10월 28일 : 제14연대 해산
ㅇ 11월 20일 국회에서 국가보안법 통과(12월 1일 발효)
1949년
ㅇ 1월 13일 : 만성리 형제묘 집단학살
ㅇ 6월 5일 : 국민보도연맹 결성
ㅇ 10월 25일 : 전남도에서 여순사건 사망자 11.131명 발표
□ 1950년
ㅇ 6월 말~8월 : 국민보도연맹원 학살, 형무소재소자 학살
□ 1955년
ㅇ 4월 1일 : 지리산 입산금지령 해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