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7page

제1편 개관 145 전・송전・배전시설에 대한 설계와 관리의 기준이 되는 법규가 마련되었다. 그러나 국내에 전기기술자 교육기관이 생기기 전에 는 1917년 개성전기(주)의 윤일중 주임기술자처럼 일 본에서 공부를 할 수 밖에 없었고, 국내에서 전기를 공부할 수 있는 학교가 생긴 이후에도 일본학생과 함 께 공부를 하였다. 1945년 8월 15일 해방 전 우리나라 전기주임기술자는 북한의 자료가 없어 정확하지 않지 만 확보된 명단은 [ 표 1-2 ] 와 같다. • 제1종 주임기술자 (경성제국대학) 김동희, 김성환, 신용철, 한만춘, (교토 대학) 우형주, (구주대학) 성찬용, 정낙은, 황 갑성, (동 경제국대학) 이종일, (와세다대학) 김선집, 남상린, 손 계철, 이상 12명) • 제2종 주임기술자 (가나자와고등공업) 이태익, 한영현, (경성고등공업) 김 종남, 박용철, 성원모, 신기조, 신지수, 이형조, 정의강, 한갑호, 현건창, (구마모토고등공업) 석만기, 이종현, (나가오까고등공업) 윤재신, 강창흡, 주보순, (나고야고 등공업) 염도유, (니뽄대 전문부) 박원우, 정규환, (다가 공업전문대) 박성청, (도쿄고등공업) 김병용, 김하규, 박 응조, 오상세, (도교전기고등공업) 성무경, 오종환, 백찬 [ 표 1-2 ] 체신청 지정 각급 학교 전기공학과 구분 구 분 정규대학 고등공업학교(전문대학) 공업학교(공업고등학교) 전형 부여하는 면허의 종류 제1종 제2종 제3종 교사의 수 8명 이상 8명 이상 3명 이상 1학급 정원 20명 이내 25명 이내 40명 이내 학과목 1.전기이론・계측 2.발송배전 3.전기기기・재료 4.전력응용 5.전기실험・실습 6.전기설계・제도 좌동 좌동 이수단위 54단위 이상 41단위 이상 33단위 이상 실험・실습기기 108종 180개 108종 178개 84종 128개 국내학교명 경성제국대학(현 서울대) 경성고등공업학교(현 서울대) 경성공업학교, 평양공업학교 , 흥남공업학교, 이리공업학교, 조선전기공업학교(수송전기공업전신) [ 표 1-3 ] 기타 전기기술자 양성기관 양성기관의 종류 학교명 전기과 정원 입학자격 을종공업학교 경성전기학교 약 200명 경성상공실무학교 약 50명 체신성 양성소 체신이원양성소(갑종) 약 20명 5년제 중학졸업자 (을종) 약 50명 3년제 중학졸업자 전업사 자체양성소 조선전업, 경성전기, 남선전기, 서선전기, 북선전기 각 양성소 본문1편 _ 132185(ok).indd 145 2014-01-24 오후 6:2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