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1page
141 알면 상식이 되는 우리 역사 명    칭 해    설 판전교시사 判典校寺事 고려왕조 때 전교시의 책임자 정3품  평리 評理 고려왕조 때 문하부 소속 정2품 관직 참지정사를 변경함 평리원 平理院 대한제국 때 최고법원을 말한 최고재판소가 명칭을 변경함 후기엔 대심원으로 변경됨 평사 評事 •  신라시대 때 감찰 및 형무소 관리  •  조선왕조 때 병마절도사 밑에 문관직으로 정6품의 관리 임용. 외직무관(外職武官)  평장사 平章事 고려왕조 때 문하부 소속의 정2품으로 각 부서 책임자 내사시랑 평장사 현재의 장관 평장정사 平章政事 고려왕조 때 정동행성의 차관직 정2품  포도대장 捕盜大將 조선왕조 때 포도청 책임자, 정2품의 무관직  표기대장군 驃騎大將軍 고려왕조 때 종1품의 무관의 품계  풍저창 豊儲倉 •  고려왕조 때 궁궐에서 사용하는 곡식을 맡아보던 관청 •  조선왕조 때 호조 산하의 각종 곡물을 맡아보던 관청 풍헌 風憲 조선왕조 때 지방행정의 최말단의 면·행정을 맡은 자로 토착 양반이 맡는다.  필선 弼善 조선왕조 때 세자시강원 소속 정4품의 관직  하마비 下馬碑 조선왕조 때 특정지역에서는 말을 타고 지나갈 수 없다는 표시판인 석비 말을 끌고  걸어서 가라는 의미임 학록 學錄 고려왕조 때 국자감의 종9품 관직국자감 학생 관리직 학사 學士 •  신라시대 때 문필과 학술을 맡은 직책 •  고려왕조 때 보문각, 홍문관, 수문전 등에 속한 종2품 정4품까지의 벼슬  •  조선왕조 초기 때 중추원(中樞院)에 소속된 종2품의 벼슬. 말기엔 규장각, 홍문관 의 칙임관의 관직 학사승지 學士承旨 고려왕조 때 한림원 소속의 정2품에서 정3품의 관직. 중서문하성의 장관이 될 수  있는 왕의 측근 관직 학유 學諭 •  고려왕조 때 국자감의 종9품 관직  •  조선왕조 때 성균관의 종9품 관직. 성균관 입학생에 대한 예비심사를 함 학장 學長 단과 대학의 행정 책임자 학정 學正 •  고려왕조 때 국자감의 학사관리직 정9품 •  조선왕조 때 성균관 정8품의 관직 한림원 翰林院 고려왕조 때 국왕의 지시 업무를 수행하던 관청. 후기엔 예문관으로 변경됨  한림학사 翰林學士 고려왕조 때 한림원(翰林院) 소속의 정4품 관직 국왕에게 강의도 하고 외교문서도  작성하는 등 국왕을 보좌하던 승지와 같음 한량 閑良 조선왕조 때 양인(良人) 이상의 특수 신분층으로 향촌에서 특별한 직업 없이 사는  사람을 가리키는 말로 사용됨. 무관집안 출신으로 아직 무과시험에 합격하지 못한  사람을 가리키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