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7page
제1편 개관 135 도전물질이 전류에 의하여 전기가 발생한다는 동전기 를 발견하였고 이를 통해 볼타전지를 발명함으로써, 사람들은 열광하였고 그의 이름을 전압으로 표시하 고, “ 볼트(Volt) ” 로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1825년 영국의 윌리엄 스터전(Willam Sturgeon)은 쇠붙이에 도선을 감아 전자석을 만들어 발표하였다. 그 후 1829년 미국의 헨리가 개량하여 U자형 철심에 도선을 감아 보다 강력한 전자석을 만들었다. 1827년 독일의 옴(Ohm)은 전압과 전류의 양적관계 를 밝히고 전기회로에 관한 옴의 법칙을 발견하였으나 인정받지 못하다가 1841년 영국왕립학회에서 옴의 법 칙을 인정하게 되었고, 전기저항의 단위는 그의 이름 을 따서 “ 옴(ohm) ” 이라고 하게 되었다. 1831년 실링만슈하트가 전기 작용을 착안하여 전자 식 전신기를 발명하였다. 1837년 미국의 모스가 모스 전신기를 만들어 실용화하였고 1876년에 그레이엄 벨 에 의하여 전화기가 발명되어 지금 유무선 전화기와 스마트폰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영국의 페러데이(Faraday)는 전기가 자기를 발생시 킨다면 거꾸로 자기가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다고 믿 고 연구한 끝에 1831년 가을 전자유도 감응의 이론으 로 전류를 발생시키는데 성공하였다. 발전원리의 발견 은 인류에 대한 최고의 공헌으로 전자유도의 원리는 전기의 인력작용 원리와 함께 전기공학 및 모든 전기 이론의 기초가 되었다. 다. 아크등과 백열전등의 발명 1808년 영국의 데이비(Davy)가 호광전등(弧光電燈, 아크등)을 발명하였다. 1878년 미국의 브러시, 이어서 휘 스톤이 전기 대신에 호광전등용 발전기를 발명함으로써 1887년에는 우리나라에서도 아크등을 사용하게 되었다. 백열전등 발명은 미국인 에디슨(Edison)이 1,000번 이상 실험에 실패한 끝에 1879년 가을, 고열에 견딜 수 있는 필라멘트로 목선실을 탄화한 탄소선을 만들 고 그것을 진공유리구 안에 넣어 백열전등의 실물실 험에 성공하였다. 그 후에 1881년 8월 파리의 전기박 람회에서 자신이 발명한 대형발전기로 16촉광의 전구 500개를 점등하여 사람들을 놀라게 하였다. 1880년에는 증기선 콜럼비아호에 최초의 상업용 백 열전등을 가설하는데 성공하였고, 1881년에는 뉴욕 히도스 석판인쇄소에 백열등을 가설하였다. 전기를 공 급하기 위해서는 발전기, 배전반, 전압계, 소켓, 스위치, 전구, 전선 등 관련 기자재 일체가 필요했고, 에디슨은 관련 기자재를 뉴욕 근교의 작은 마을 “ 멘로우 파크 ” 에서 스스로 제조하고 제작하였는데, 오늘날 그 곳을 “ 전등사업의 발상지 ” 라고 한다. 에디슨은 1880년 기술개발 및 경제상의 어려운 문 제점들을 극복하고 뉴욕의 펄가에 “ 에디슨 전기회사 ” 를 설립하여 운영하였다. 그는 전류의 분배는 병열방 식으로 전등전압은 100V를 유지하도록 하였다. 1882 년 9월 4일에 주택에 전기를 공급하여 점등이 되었다. 이것이 일반 공급의 전등사업 시초이다. 1938년 미국의 GE사에서는 수은 등의 내면에 형광 물질을 바른 형광전등의 실용화에 성공하였다. 백열전 구에 비하여 3배나 밝고 수명도 길며 빛깔도 야광색 에 가까워 백열전구보다 더 많이 사용하게 되었다. 본문1편 _ 132185(ok).indd 135 2014-01-24 오후 6:24:27